성공한 사업가가 되기 위해 중요한 점
- 수도 없이 많을 테지만, 주변에 능력 있고 멋진 사람이 많아야 한다.
- 혼자 잘나서 성공할 수도 있지만 그것은 어렵다.
- 또한 정말 큰 기업이 되려면 운도 굉장히 중요한 요소이다.
주변에 멋진 사람을 많이 만드는 법
- 가장 먼저 스스로가 멋진 사람이 되어야 한다.
- 사람을 최대한 많이 만나고, 경험하고 배워야 한다.
- 스스로를 사람을 많이 만나는 환경에 노출시켜야 멋진 사람을 얻을 확률도 높아진다.
- 의도적으로 멋진 사람을 많이 만나려고 노력해야 한다.
창업을 하기 위해서는..
- 창업과 관련된 커뮤니티, 글, 책 등에 최대한 나를 노출시켜라.
- 그곳에서 최대한 많은 지식과 정보를 접하고 익숙해져야 한다. 자연스레 창업에 관한 많은 것들을 배우고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지 느끼게 될 것이다.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까
- 인간의 역량은 정량화하기 어렵다.
- 스스로 부족한 점을 끝없이 캐치하고 성장해 낼 수 있는 사람이 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
- 느리더라도 변화에 적응하고 꾸준히 성장할 수 있는 사람. 그리고 그런 방향.
- 기업에서도 그런 사람을 원한다.
일을 잘 하는 사람
- 우리 주변에서 일을 잘 한다고 느껴지고, 함께 일하고 싶은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이 일을 잘 하는 사람이다.
- 나 스스로가 그런 사람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자연스레 멋진 사람들이 주변에 모일 것이다.
변치 않는 지식, 기반이 되는 지식은 최대한 빨리 배워 두어야 한다.
- 정글에서 배우는 CS지식들은 최소 수십 년 이상 변하지 않고 쓰이고 있는 것들이다.
- 그러나 도구는 너무나 빨리 변한다. 따라서 기초가 되는 지식들에 뿌리를 내리고, 그것에 기반하여 새로운 도구들에 빠르게 적응하고 활용하고 응용하는 것이 빠르고 높게 성장할 수 있는 길이다.
장병규 의장님은 특출나게 한 분야를 잘 하진 않았지만(과연..?), 사업에 관한 모든 분야에서 최소한 평균 이상은 하셨다고 한다. 또한, 개발만으로는 자신보다 잘 하는 사람이 있었기 때문에 개발 매니저 쪽으로 방향을 정했다고 하셨다.
이 말을 듣고 개발자로서는 개발만 잘 해도 되지만, 사업가로서는 사업에 관한 넓은 분야를 고루 꿰고 있어야 한다고 느꼈다. 내 회사의 어떤 분야에서 어떤 일이 생겨도 최소한의 이해와 대응이 가능한 정도는 말이다. 그것이 장병규 의장님의 사업가로서의 자질이 아니었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