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들어진 웹서버를 배포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이 있다. 빌드하고, 빌드된 파일을 실행만 하면
어디에서든 웹서버를 가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먼저 스프링이 설치된(프로젝트가 설치된) 디렉터리로 온다.
그러면 이런 파일과 디렉터리들이 있다.
이 화면은 인텔리제이에서 실행한 터미널이고, git bash가 연동되어 있다. 강사님도 git bash를 사용하시고,
나도 리눅스 환경이 편해서 git bash를 인텔리제이 터미널에 연동했다.
연동 방법은 간단하니 구글링하면 쉽게 따라할 수 있다.
참고로 git bash는 리눅스 명령어를 따른다.
./gradlew build
해당 스프링이 설치된 위치에서, ./gradlew build 명령어를 입력한다.
그러면 이렇게 빌드가 시작된다.
만약 빌드가 잘 되지 않으면, ./gradlew clean 을 입력한다. 그럼 이전에 빌드했던게 지워진다.
이후 ./gradlew clean build를 입력해서 다시 빌드해보자.
cd build/libs
빌드가 끝나고, build/libs 디렉터리로 들어오면 이렇게 파일이 생성되어 있다.
위에 있는 SNAPSHOT.jar 파일을 사용할 것이다.
저 파일만 있으면, 어디에서든 아주 쉽게 웹 서버를 가동할 수 있게 된다.
한번 가동해 보자. 그 전에, 인텔리제이로 실행중이던 스프링은 반드시 꺼야 한다.
java -jar hello-spring-0.0.1-SNAPSHOT.jar
java -jar 명령어로 실행이 가능하다.
그러면 이렇게 정상적으로 스프링이 가동된다.
물론 웹도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가동 종료는 터미널에서 Ctrl + C 를 누르면 된다.
저 파일만 넘겨주면 누구나 쉽게 웹서버를 가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간단하게 배포할 수 있다니... 기술이 정말 많이 발전했다는 생각이 든다.
'Development >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입문 - API (0) | 2023.10.26 |
---|---|
스프링 입문 - MVC와 템플릿 엔진 (1) | 2023.10.24 |
스프링 입문 - 정적 컨텐츠 (0) | 2023.08.15 |
스프링 입문 - View 환경설정 (0) | 2023.08.01 |
스프링 입문 - 프로젝트 생성 (0) | 2023.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