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Algorithm 115

[Baekjoon 11724 / python / 실버2] 연결 요소의 개수

import sys sys.setrecursionlimit(10 ** 9) # 재귀함수 최대깊이 늘려놓기 N, M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 노드개수, 간선개수 graph = [[] for _ in range(N + 1)] # 노드번호와 인덱스를 맞추기 위해 + 1 for _ in range(M): # 연결정보 입력받기 root, edge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graph[root].append(edge) graph[edge].append(root) visited = [False] * (N + 1) # 노드번호와 인덱스를 맞추기 위해 + 1 visited[0] = True # 마지막에 False 존재 여부..

Algorithm/DFS 2024.03.30

[Baekjoon 11725 / python / 실버2] 트리의 부모 찾기

import sys sys.setrecursionlimit(10 ** 9) N = int(sys.stdin.readline()) # 노드의 개수 graph = [[] for _ in range(N + 1)] # 노드번호와 인덱스번호 동기화를 위해 N + 1 for _ in range(N - 1): # 연결정보 입력받기 root, edge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graph[root].append(edge) graph[edge].append(root) visited = [False] * (N + 1) parent = [[] for _ in range(N + 1)] # 노드번호와 인덱스번호 동기화를 위해 N + 1 def dfs(graph, v, visited..

Algorithm/DFS 2024.03.30

[Baekjoon 2606 / python / 실버3] 바이러스

# DFS/BFS로 모든 노드 탐색 # visited 목록 만들어서 True 갯수 세면 될듯 !! import sys N = int(sys.stdin.readline()) # 노드의 개수 E = int(sys.stdin.readline()) # 간선의 개수 graph = [[] for _ in range(N + 1)] # 노드번호와 동기화 하기 위해 N + 1 for _ in range(E): root, edge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 [1,2] 형태로 입력된다. 1번과 2번에 연결되어 있다는 뜻 graph[root].append(edge) # 무방향(양방향) 그래프이기 때문에 대칭되게 입력해 준다 graph[edge].append(root) for ..

Algorithm/DFS 2024.03.30

[Baekjoon 1260 / python / 실버2] DFS와 BF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mport sys def DFS(graph, v, visited): # 인접노드리스트, 시작 노드, 방문목록 visited[v] = True print(v, end=' ') for i in graph[v]: # 현재 노드의 인접 노드로 재귀 if visited[i] == False: # 아직 안 갔으면 가기 DFS(graph, i, visited) def BFS(graph, start, visited): # 인접노드리스트, 시작 노드, 방문목록 queue = deque([start]) # 큐에 시작 노드 넣기 visited[start] = True while queue: v = queue.popleft() # 큐에서 노드 빼고 출력 print(v, ..

Algorithm/DFS 2024.03.29

[Baekjoon 5639 / python / 골드5] 이진 검색 트리

import sys sys.setrecursionlimit(10**9) # 재귀호출 최대 깊이를 늘려준다 pre = [] # 전위순회 순서 입력받기 while True: try: n = int(sys.stdin.readline()) pre.append(n) except: break def postOrder(nodeList): # 전위순회 결과를 입력받는다 생각지 말고, 그냥 노드 리스트를 입력받는다 생각하면 이해가 편함 if len(nodeList) == 0: # 빈 리스트라면 return return left, right = [], [] root = nodeList[0] # root노드 기준으로 작은값, 큰값으로 나눈다 for i in range(1, len(nodeList)): # root노드 다음값..

Algorithm/Graph 2024.03.29

[Baekjoon 1991 / python / 실버1] 트리 순회

import sys n = int(sys.stdin.readline()) tree = {} for _ in range(n): root, left, right = sys.stdin.readline().split() tree[root] = [left, right] # {'root' : ['left', 'right']} 형태로 저장한다 def preorder(root): # 전위 순회 if root != '.': print(root, end='') preorder(tree[root][0]) preorder(tree[root][1]) def inorder(root): # 중위 순회 if root != '.': inorder(tree[root][0]) print(root, end='') inorder(tree[r..

Algorithm/Graph 2024.03.29

[Baekjoon 1110 / python / 브론즈1] 더하기 사이클

n = input() if len(n) == 1: # n이 한자릿수 라면 앞에 0을 붙인다 n = '0' + n cnt = 0 # 횟수를 세는 변수 num = n while True: num = num[1] + str(int(num[0]) + int(num[1]))[-1] # 새로운 수 제작 cnt += 1 # 제작할 때마다 카운트 + 1 if num == n: # n과 같아지면 break break print(cnt) n으로 새로운 수를 제작하여, 몇 번 새로운 수를 만들어야 다시 n으로 돌아오는지 출력하는 문제이다. n은 1~99 의 범위에서 주어진다. 예를 들어 26이 주어졌다면, 26의 오른쪽 자리인 "6", 그리고 각 자리를 합한 수의 오른쪽 자리인 2+6="8" 두개를 더하여 "68"을 만들어..

Algorithm/문자열 2024.03.28

[Baekjoon 1992 / python / 실버1] 쿼드트리

n = int(input()) # 변의 길이 board = [list(map(int, input().rstrip())) for _ in range(n)] # rstrip() 하면 개행문자 제거해서 한번에 입력할 수 있게 해준다 def quadTree(x, y, n): # x, y좌표와 변 길이를 입력받는다, 첫 호출은 0,0을 입력 color = board[x][y] for i in range(x, x+n): for j in range(y, y+n): # 현재 사각형의 모든 칸을 검사한다 if color != board[i][j]: # 색깔이 다른 칸이 하나라도 있다면 4등분 재귀호출 한다 print('(', end='') # 출력 양식에 맞게 괄호 입력 quadTree(x, y, n//2) # 출력 양..

[Baekjoon 1182 / python / 실버2] 부분수열의 합

n, s = map(int, input().split()) # 숫자의 개수, 목표 숫자 numList = list(map(int, input().split())) # 숫자 리스트 number = [] # 계산에 사용할 리스트 cnt = 0 # 경우의 수 저장할 변수 def back(start): # 시작 인덱스 입력받기 global cnt if sum(number) == s and len(number) > 0: # 합이 s와 같고, 원소가 1개 이상일 때 ( 공집합 제외 해야 하니까 ) cnt += 1 # 찾았으니 경우의 수 + 1 for i in range(start, len(numList)): # 입력받은 인덱스부터, numList의 끝까지 진행한다 number.append(numList[i]) #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