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Development 33

스프링 입문 - 빌드하고 실행하기

만들어진 웹서버를 배포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이 있다. 빌드하고, 빌드된 파일을 실행만 하면 어디에서든 웹서버를 가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먼저 스프링이 설치된(프로젝트가 설치된) 디렉터리로 온다. 그러면 이런 파일과 디렉터리들이 있다. 이 화면은 인텔리제이에서 실행한 터미널이고, git bash가 연동되어 있다. 강사님도 git bash를 사용하시고, 나도 리눅스 환경이 편해서 git bash를 인텔리제이 터미널에 연동했다. 연동 방법은 간단하니 구글링하면 쉽게 따라할 수 있다. 참고로 git bash는 리눅스 명령어를 따른다. ./gradlew build 해당 스프링이 설치된 위치에서, ./gradlew build 명령어를 입력한다. 그러면 이렇게 빌드가 시작된다. 만약 빌드가 잘 되지 않으면, ./..

Development/Spring 2023.08.01

스프링 입문 - View 환경설정

웹에는 Welcome Page 라는것이 있다. 웹으로 접속했을 경우, 가장 처음 반겨주는 페이지를 의미한다. 컨트롤러를 통해서 /(루트)경로에 페이지를 따로 지정하지 않았다면, 스프링 부트는 기본적으로 static/index.html 파일이 Welcome Page 역할을 하게 된다. 처음엔 웰컴 페이지가 없으므로, 따로 생성해 주어야 한다. resources:static/index.html 파일을 생성했다. 강의자료에 있는 html코드를 붙여넣고, 스프링을 재시작한다. 이제 페이지에 접속해보면 에러 페이지가 아니라 웰컴 페이지가 우리를 반겨준다. 물론, 웰컴 페이지만 만들었기 때문에 저기 보이는 hello를 누르면 당연히 에러가 뜬다. 소스코드를 보면, 우리가 index.html 파일에 입력한 코드와 완..

Development/Spring 2023.08.01

스프링 입문 - 프로젝트 생성

인프런에서 김영한님 스프링 입문 강의를 완강했다. 스프링은 완전히 처음이라 정말 어려웠지만, 완강하고 나니 대략적인 틀이 보이는 것도 같다. 그러나 정신없이 듣느라 전혀 체득하지 못한것 같아서, 강의를 다시 복습하며 글로 정리해 보려고 한다. https://start.spring.io/ 링크로 접속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뜬다. 스프링 프로젝트를 쉽게 시작할 수 있도록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기능이다. 간단한 설정을 한 후, 다운로드 받으면 쉽게 스프링을 시작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설정한 후, 아래 GENERATE 버튼을 누르면 다운로드할 수 있다. 자바 버전이 다른경우 스프링 가동이 되지 않으니, 잘 확인해야 한다. 오른쪽 Dependencies(의존성) 부분은, 우린 웹개발을 할 것이니 Spring W..

Development/Spring 2023.07.30
728x90
반응형